오늘은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알아볼 수 있는 인터넷트렌드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네이버가 검색엔진 시장점유율을 많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요즘에는 구글의 검색엔진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편입니다. 네이버에서는 광고글이 많아서 사람들이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찾기 위해 구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알려드리는 인터넷트렌드를 통해 카테고리 별 검색엔진 시장점유율을 확인하시고 자신이 어떤 정보에 대해 검색하고 싶을 때 아 여기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게 효과가 좋겠구나 생각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목차
검색엔진 점유율을 분석할 수 있는 인터넷트렌드 사이트입니다.
조회기간을 선택하시면 위와 같이 검색엔진 점유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시다시피 네이버에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는데 지금은 58% 정도 나오고 구글이 32% 나머지 다음이나 빙, 줌 등 사이트가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7년까지만 해도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은 네이버가 87% 정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었고 다음이 10% 정도로 2등이었고 구글은 0.2% 정도 차지하면서 지금의 줌 정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구글은 2017년부터 유튜브와 크롬브라우저의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레 검색엔진 점유율도 높아졌습니다. 다들 핸드폰에 보시면 구글 크롬을 사용하실텐데요~ 컴퓨터에서도 크롬을 많이 사용합니다. 현재 크롬 브라우저 점유율이 70%에 육박할 정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점유율이 높아진데에는 구글 자체만의 노력도 있었겠지만 검색엔진 1위 네이버의 안일한 정책도 구글 성장에 도움을 줬습니다. 네이버에서는 인플루언서를 도입해서 자체 플랫폼 글들만 밀어주고 타 플랫폼 글들은 뒤로 밀어내면서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보니 글들도 자연스레 홍보 및 광고성 글이 많아지고 사람들의 외면을 받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인터넷트렌드에서는 카테고리 별로 검색엔진 점유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별로 검색해보시면 카테고리별 검색엔진 점유율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메뉴 옆에 마우스를 눌러보시면 다양한 카테고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의학 카테고리는 어떤 검색엔진 점유율이 높은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건강/의학 카테고리는 네이버가 64% 구글이 31% 정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카테고리 점유율보다는 높아서 건강/의학에 관련된 카테고리를 검색할때 네이버에서 검색하는 검색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교육/학원 카테고리 점유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이번에도 네이버가 1위이긴 하지만 48%로 전체카테고리 점유율보다 떨어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뒤로 구글이 44%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교육/학원 관련된 글을 검색할 때는 구글도 많이 검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검색엔진 시장점유율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트렌드 사이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블로그 하실 때도 활용하실 수 있는데 자신의 블로그 주제에 따라 어떤 검색엔진에서 많이 검색되겠구나 생각하실 수 있고 그에 따른 글쓰기 방식도 다르게 하여 방문자 유입을 더 많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