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키키키입니다. 오늘은 2021년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 연봉은 세전으로 이야기해서 세금을 빼고 받는 금액에 대해서는 자기 연봉이 아닌 이상은 잘 모르시는 경우도 많으실거에요~ 그래서 연봉 별 세전, 세후 금액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회사에서 연봉을 받으면 세금을 제외하고 받게 됩니다. 그래서 연봉에는 세전 금액과 세후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먼저 연봉에서 제외되는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 제도 입니다. 국민연금은 급여액에서 사업주와 근로자가 4.5%씩 부담합니다.
건강보험 : 건강 보험 제도는 소득 및 재산 등에 따라 매달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제도 입니다. 건강 보험은 아프거나, 출산 할 때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고, 건강보험 가입자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 됩니다. 건강보험은 사업주와 근로주가 3.43%씩 부담합니다.
장기요양 : 장기요양 보험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 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보험 제도 입니다.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료의 11.52%씩 사업주와 근로주가 부담합니다.
고용보험 :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향상 및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의 하나입니다.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0.80% 사업주가 150인 미만 회사는 1.05% 150인 이상 우선지원 하는 곳이 1.25% 150인 ~ 1000인 미만 1.45% 1000인 이상 및 지자체는 1.65% 입니다.
먼저 연봉 1200만원 ~ 3000만원 까지 연봉별 실수령액 입니다. 세전 금액은 연봉 금액에서 12달로 나눈 금액이고 세후 금액은 12달로 나눈 금액에서 세금을 뺀 금액 입니다. 지급 비율에 맞춰서 표시한 금액이라서 실제 업종이나 부양가족 등에 따라 실제 받는 금액에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3100만원 ~ 5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입니다. 보통 직장인들 평균 연봉들이 3000~5000만원 사이 인거 같더라구요~ 점점 연봉이 올라갈수록 내야되는 세금도 더 늘어납니다.
다음으로 5100만원 ~ 7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입니다. 대기업 대리~부장 정도 되면 이정도 연봉 받는거 같더라구요~~
다음으로 7100만원 ~ 9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입니다.
마지막으로 9100만원 ~ 10000만원 연봉 실수령액 입니다. 꿈의 연봉 1억 정도 되면 세후 600만원 대 받습니다.
4대보험료는 모의 계산기를 통해 알아볼 수도있습니다. 아래 4대보험료 모의계산기 링크로 접속하셔서 월 급여를 입력하시면 바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 2021년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021년에는 4대보험을 많이 내더라도 연봉이 많이 올랐으면 좋겠네요... ㅎㅎ 이 글을 보는 모든 분들의 연봉이 많이많이 오르시길 바랍니다~
대출이자 계산, 연봉실수령액 계산 등 각종 계산 사이트